페이커 왕좌에 자리를 다시 찾을수 있을까?
출생
1996년 5월 7일 (24세)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국적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
학력
등원중학교 (졸업)
마포고등학교 (중퇴
본관
경주 이씨
신체
176cm | 64kg | O형
가족
조모 권오윤
아버지 이경준
남동생 이상훈
종교
무종교
병역
보충역 (고등학교 중퇴)
닉네임
Faker
ID
SKT T1 Faker
Hide on bush
포지션
미드
소속
T1 SKtelecom T1
(2013.02.13 ~ )
국가대표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 (2018)
채널
유튜브 아이콘 구독자 127만 명
트위치 아이콘 팔로워 308만 명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현재 T1 리그 오브 레전드의 미드 라이너, 프랜차이즈 스타, 파트 오너이다. LoL e스포츠에서 동료 벵기와 함께 유이(唯二)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 3회 우승자이자 유일한 롤드컵 3회 우승 미드라이너이다. 또한 허원석과 더불어 유이(唯二)한 롤드컵과 MSI를 모두 우승해본 미드라이너이기도 하다.
2013 LCK 스프링 시즌에 16세라는 나이로 데뷔한 2세대 프로게이머이자[13] 이후 오랫동안[14] 엄청난 경기력을 선보이면서 전 세계 롤판 황제로 군림해온 역대 최고의 LOL 플레이어로서[15] 전 세계 e스포츠 역사상 가히 압도적인 인기와 지명도 및 커리어를 가진 세계 최정점에 위치한 선수이다.[16]
LCK 관계자에게도 평판이 매우 높은데 이는 특히 게임 해설가 김동준의 언급처럼 단 한 번도 자신 실력에 대해서 자기 입으로 뽐낸 적은 없지만 이후 다른 사람이 내린 평가를 통해 역사상 최고 미드 라이너이자 역대 최고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불리게 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17] 이와 마찬가지로 과거 1세대 프로게이머 선수 출신이었던 클템은 한 인터뷰에서 아예 페이커를 역대 최고 미드 라이너에서 배제하는 전문가가 만약 있다면 그 사람은 전문가 타이틀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언급했고[18] 지금껏 큰 무대에서 많은 것을 증명해온 페이커 선수에 대해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들 외에도 강승현 해설, 전 세계 리그 오브 레전드와 관련된 각 지역별 스타 플레이어를 비롯한 수많은 현역 선수들, 역사를 쓴 전설들 및 패널들을 포함한 각종 롤 관계자들, 특히 한국 e스포츠 분야에서 높은 관록을 지닌 전용준과 성승헌 캐스터 및 스타크래프트 1 계의 전설적인 인물인 강민 역시 LCK에서 해설가로 활동했던 시절에는 앞선 이들과 비슷하게 역시 해설 도중 탄성을 자아내는 등 그를 고평가했다.[19]
거기에 과거 한국 롤판 슈퍼스타 계보를 논할 때 LCK 초창기 시절 및 롤판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서포터 매드라이프[20]의 뒤를 이어 그 이상 퍼포먼스를 자아내며 세계적인 일약 슈퍼스타가 되었으며 해당 자리를 물려받은 이후부터는 줄곧 오랜 시간 동안 3대 슈퍼스타에게 물려주지 않고 있다.
특히나 페이커는 아직까지도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으며, 커리어상으로 서로 비교가 가능한 인물로는 T1 초창기부터 페이커와 같은 팀으로 2016년까지 활동했던 주전 파트너 정글러 벵기와 2019년까지 페이커와 함께했던 김정균 뿐이다. 물론 2018년을 주요 분기점으로 LCK가 주춤하면서 더샤이, 루키, 도인비, 우지, 캡스, 퍽즈 등과 같은 LPL과 LEC를 비롯한 메이저 지역에서 뛰어난 포스를 뿜어내며 막강한 인기를 구가함과 동시에 엄청난 커리어를 쌓는 선수들이 다수 생겨났고, 그리고 국내 리그나 혹은 해외 리그로부터 계속해서 이름이 거론되는 국적을 막론한 여러 선수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고 외에도 이전 세대 프로게이머들 역시 많이 있어왔음에도 그 이상의 족적을 쌓아나가고 있는 선수이다.
2020년 2월 18일에는 3년 재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파트 오너 계약을 통해 T1 지분을 일부 받게 되면서, 프로게이머 은퇴시 회사 임원 자격으로 경영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선수 은퇴 이후부터는 T1 지도자가 되기로 합의했다. ESPN 기사 네이버 뉴스 이를 통해 이제 페이커는 팀 창단 결정적인 초석 역할을 맡았던 임요환의 뒤를 이어 T1의 평생 레전드로 남게되었으며 프로 생활 시작부터 지속적으로 T1 소속 일원으로 남아있는 상태이며 큰 이변이 없는 이상 앞으로도 쭉 남아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정말 말 그대로 T1 그 자체라고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서 언급된 스타크래프트1 황제 임요환과 라이벌 홍진호 (임진), 이영호, 이제동 (리쌍)을 비롯한 한 시대를 풍미했던 브루드 워 e스포츠 명예 전당 헌액자들과 워크래프트 3 장재호, 카트라이더 문호준, 스타크래프트 2 정종현과 함께 e스포츠의 살아있는 전설 같은 존재이다. 또한 e스포츠라는 범주를 벗어나서도 수많은 과거 전설 및 현역 스포츠 슈퍼 스타들과도 동등한 세계 최고 선수로도 평가된다.
라이엇 게임즈에서도 페이커 전성기가 지난 2020년까지도 페이커를 최고 수준으로 치는데, 2020 월드 챔피언십 주제곡인 Take Over 공식 MV에서도 다른 우승자 출신 선수들이 모두 주인공이 꺾고 올라가야 할 대상으로 그려진 반면 페이커는 주인공에게 처음 토큰을 던져주고 주인공이 페이커 해외 팬 별명인 "The Demon King (大魔王)"이란 간판이 달린 장소로 들어서게 한다. 이어 페이커는 게임에서 계속 패배하는 주인공에게 계속 기회를 제공하며 주인공을 지켜보는 거 세계관 최강자급 역으로 등장했다. 영상에선 3분 45초 동안 6번이나 등장하고, 아웃트로 또한 페이커가 모바일 기기로 그를 지켜보는 장면으로 만들어졌다. 원래는 직전 시즌 우승팀에게 포커스가 많이 가야 하지만, 전 시즌 우승자인 티안의 리 신보다도 페이커가 훨씬 자주 등장했을 정도로 사실상 페이커 헌정 영상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을 정도로 라이엇에서 페이커를 높게 대우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합하자면, 페이커는 단순히 실력 좋은 선수라고만 칠 인물이 아니기 때문에 그 위상이 압도적인 것이다. 단순하게 프로로서의 실력과 플레이가 좋다라는 수준이 아닌 그에 밑바탕이 되는 훌륭한 인성을 비롯하여 초심을 잃지 않는 노력가에 가까운 모습에다가 세계구급 재능이 모두 합쳐진, 한 마디로 국경을 넘어 세계 스포츠 역사에 발자취를 남기고 단순히 종목별 선수의 한계를 넘어 자신이 활동하는 스포츠 종목 그 자체 시장과 인지도를 사람들 뇌리에 당당히 각인시킨, 쉽게 말해 선수 개인 인지도가 종목 인지도 자체를 초월해버린 월드스타 플레이어이기 때문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시즌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시즌 월드 챔피언십, MVP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시즌 월드 챔피언십
4강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시즌 월드 챔피언십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6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우승
2017 Mid-Season Invitational
4강
2019 Mid-Season Invitational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3위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우승
HOT6 Champions Summer 2013, MVP
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MVP
8강
HOT6 Champions Spring 2014
8강
HOT6 Champions Summer 2014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MVP
우승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3위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4위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7위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5위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아시안 게임
16강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은메달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 인비테이셔널
우승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준우승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4강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지역대항전
우승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올스타 결전
우승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지역별 라이벌전
우승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KeSPA Cup
4강
NAVER 2015 LoL KeSPA Cup
4강
2016 LoL KeSPA Cup
4강
2017 LoL KeSPA Cup
8강
2018 LoL KeSPA Cup
4강
2019 LoL KeSPA Cup ULSAN
기타 대회
4강
제 2회 AMD-인벤 챔피언십 프로팀 최강전
4강
WCG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3위
빅파일 NLB Spring 2014
준우승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우승
IT ENJOY NLB Summer 2014
우승
IEM Season Ⅹ - World Championship
8강
2020 Mid-Season Cup
수상
2013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미드 부문 최우수 선수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최우수 선수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미드 부문 인기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최우수 선수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미드 부문 인기상
2017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e스포츠 선수
2018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19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최다 우승 선수.
Mid-Season Invitational 최다 우승 선수.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 우승 선수.
선수 개인 관련 기록
메이저 국제전 통산 100승을 달성한 유일한 선수.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9회) 우승자.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000킬 기록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연소 및 최고령 우승자 기록을 달성한 미드라이너.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550전 이상을 달성한 첫번째 선수
우승 기록
리그 오브 레전드
HOT6 Champions Summer 2013 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우승
MVP Ozone
→
SK telecom T1
SK telecom T1 K
→
Samsung Galaxy Blue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Taipei Assassins
→
SK telecom T1
→
Samsung Galaxy White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 인비테이셔널 우승
인비테이셔널 출범
→
SK telecom T1 K
→
Edward Gaming
IT ENJOY NLB Summer 2014 우승
CJ Entus Frost
→
SK telecom T1 K
→
Anarchy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kt Rolster Arrows
→
SK telecom T1
→
ROX Tigers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우승
Samsung Galaxy White
→
SK telecom T1
→
Samsung Galaxy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Team ICE
→
Team Fire
→
Team ICE
IEM Season Ⅹ - World Championship 우승
Team SoloMid
→
SK telecom T1
→
Flash Wolves
2016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7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Edward Gaming
→
SK telecom T1
→
Royal Never Give Up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ROX Tigers
→
SK telecom T1
→
Longzhu Gaming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LPL
→
EAST
LCK
LCK
→
미정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kt Rolster
→
SK telecom T1
SK telecom T1
T1
→
DAMWON Gaming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LPL
→
LCK
→
폐지
준우승 기록
리그 오브 레전드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준우승
Xenics Unite
→
SK telecom T1
→
폐지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Oh My God
→
SK telecom T1
→
Counter Logic Gaming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준우승
Team Ice
→
Team Fire
→
LMS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대회 출범
→
LCK
→
LPL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kt Rolster
→
SK telecom T1
→
Afreeca Freecs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Samsung Galaxy
→
SK telecom T1
→
Fnatic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은메달
종목 채택
→
대한민국
→
폐지
수상 기록
리그 오브 레전드
HOT6 Champions Summer 2013 MVP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MVP
배어진
(MVP Ozone)
→
이상혁
(SK telecom T1)
이상혁
(SK telecom T1 K)
→
배어진
(Samsung Galaxy Blue)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MVP
이지훈
(SK telecom T1)
→
이상혁
(SK telecom T1)
→
이호성
(SK telecom T1)
2016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결승 MVP 출범
→
이상혁
(SK telecom T1)
→
이재완
(SK telecom T1)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MVP
장경환
(SK telecom T1)
→
이상혁
(SK telecom T1)
→
박재혁
(Samsung Galaxy)
LCK All-Pro Team 선정
2020 LCK SPRING 3RD TEAM
댓글